Spring
【Udemy : SpringBoot】⑤DAOパータンを用いたデータベース操作
Birthmark
2022. 1. 19. 22:23
- DI
- @Conponent
-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 @ModelAttribute
- H2Database
memo
Dao, Service 패턴 쓰는 이유는 서비스의 추상화가 스프링의 기본철학이기 때문.
코드를 느슨하게 연결하기 위해 Dao는 최대한 나누는게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음. Service는 여러 Dao들을 조립하는 것.
Dao는 DB쿼리의 단위, Service는 트랜잭션의 단위, Controller는 비즈니스의 단위로 간단히 이해.
流れ
1. 사용자는 Controller에 Service를 요청
2. Controller는 Service.getAllInfo() 호출
3. Service는 DAO.insertInfo() 호출
4. DAO는 DB에서 얻어온 결과를 Serrvice에 return
5. Service는 DAO에서 얻어온 결과를 Controller에 return
6. Controller는 Service에서 얻어온 결과를 View에 전달
7. View는 사용자에 응답
수년전에 프로젝트까지 했었는데 2년동안 안드로이드만 하다보니 또 잊어버렸다. 완전히 소화를 못했기때문에 잊어버린건가. 自分の言葉でしっかり変換しないとすぐ忘れてしまうらし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