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용어이해와 사례 중심
도커 컨테이너는 일종의 소프트웨어를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필요한 모든 것을 포함하는 완전한 파일 시스템 안에 감싼다. 여기에는 코드, 런타임, 시스템 도구, 시스템 라이브러리 등 서버에 설치되는 무엇이든 아우른다. 이는 실행 중인 환경에 관계 없이 언제나 동일하게 실행될 것을 보증한다.
컨테이너 및 도커 개념정리
소프트웨어는 OS와 라이브러리에 의존성을 뛴다. 그러므로 하나의 컴퓨터에서 성격이 다른(OS,라이브러리 버전이 다른) 소프트웨어를 한번에 실행할 때 어려움을 가질 수 있고 관련된 구성을 관
velog.io
1. NGINX의 개념과 이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배포작업을 거쳐야한다. 최근 웹서버로 NGINX를 많이 쓰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 과연 이놈이 어떤 놈인지 알아보고 사용해보자. NGINX란? web ser
velog.io
쿠버네티스 가이드를 보면 yaml파일을 작성하는 법부터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하는 법까지 나오는데 이전에 관련용어도 정리되지않아서 찾아봄
쿠버네티스 알아보기 1편: 쿠버네티스와 컨테이너, 도커에 대한 기본 개념
요즘 IT 생태계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쿠버네티스라는 단어를 들어 보셨을 텐데요. 쿠버네티스에 대해 개발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여러 대기업에서 새로운 시스템을 쿠버네티스를
samsungsds.com
컨테이너
우리가 구동하려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까지 감싸서, 어디서든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
駆動しようとするアプリケーションを実行できる環境まで包み込み、どこでも簡単に実行できるようにする技術
컨테이너 런타임
컨테이너를 쉽게 내려받거나 공유하고 구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
그중하나가 도커
도커가 사용하는 컨테이너 규격은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도커가 아닌 다른 컨테이너 런타임들도 도커로 만든 컨테이너를 사용할 수 있음
도커
쿠버네티스
Linux 컨테이너작업을 자동화하는 오픈소스 플랫폼
오케스트레이션
쿠버네티스가 해 주는 일(쿠버네티스의 장점)
여러 서버(노드)에 컨테이너를 분산해서 배치하거나, 문제가 생긴 컨테이너를 교체하거나, 컨테이너가 사용할 비밀번호나 환경 설정을 관리하고 주입해 주는 일
쿠버네티스의 역할은 컨테이너를 분산 배치, 상태 관리 및 컨테이너의 구동 환경까지 관리해 주는 도구이고
도커는 컨테이너를 다루는 도구(컨테이너 런타임) 중 하나입니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를 다루기 위해 도커 이외에도 다양한 컨테이너 런타임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